분류 전체보기 90

L3 Packet으로 외워라

Packet 데이터의 단위이다. 보쌈 같은 느낌이다. 여러 데이터를 묶어 또 하나의 단위로서의 데이터이다. 패킷은 L3 IP Packet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때의 의미는 OSI 7 Layer 중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킷이라는 의미이다. Header와 Payload로 나뉘고 상대적인 분류이다. 헤더가 송장이라면 페이로드는 택배 안의 내용물이다. 최대 크기는 MTU(1500 bytes)로 그 크기가 작다. 여기서 L3 IP Packet 에서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킷이라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데 패킷이 출발지와 도착 주소를 가지고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돌아다니는 패킷을 분석할 때 보통 와이어샤크 프로그램을 통해서 한다. 와이어샤크는 애널라이저 스니퍼라고도 불린다.

Network/L3 2023.04.02

IPv4주소의 기본 구조

Ethernet(NIC) - MAC주소 - 48bit IPv4 IP 주소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한 고유번호를 일컫는다. '.'으로 32비트를 8비트로 쪼개어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은 8bit로 이루어져 있다. 8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0~255이다. 이러한 IP주소는 네트워크 아이디와 호스트 아이디로 구성된다.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몇번지라는 주소가 있을 때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에 해당하는 부분이 네트워크 아이디이고 몇번지라는 부분이 호스트에 해당한다고 이해하면 이해하기 용이하다. 이렇게 네트워크 아이디와 호스트아이디를 나눔으로써 전달하고자 하는 패킷을 모아 놓고 해당 네트워크로 모아놓은 패킷을 보낸다. 그리고 세부 주소인 지번으로 보낸다.

Network/L3 2023.04.02

LAN과 WAN의 경계 그리고 Broadcast

Broadcast 특정 네트워크의 주소 중 마지막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에 해당한다. 패킷이 Frame이라는 단위로 전송되는데 그 안에 Header가 존재한다. 택배가 패킷이면 Header의 경우 송장과 같은 개념인데 패킷을 보내는 Source와 도착지인 Dst가 적혀있다. 브로드캐스트는 최소화 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네트워크 통신을 확인하는 시간 동안 다른 호스트가 통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브로드캐스트를 적용하는 범위를 한정하기도 한다. Physical OSI 7 Layer에서 1계층과 2계층에 해당되는 부분을 일컫는다. 통상 LAN이 물리 계층에 해당된다. Logical ≒ Virtual 컴퓨터 분야에서 실체가 존재하지 않는 논리적인 것들은 가상의 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WAN이 인터..

Network/L2 2023.04.02

L2 스위치+ L2 Distribution Switch + Router

L2 스위치 호스트(네트워크에 참여한 컴퓨터) 또는 Endpoint(네트워크 구성요소가 아닌 컴퓨터)의 NIC에 인터넷 케이블을 꼽고 있는 기기가 여러개있다고 했을 때 이 여러개의 기기에서 나온 인터넷 케이블을 꼽는 스위치가 L2 스위치이다. 방마다 L2 스위치가 하나 정도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L2 스위치의 주요 역할은 네트워크 범위에 있는 기기에 이더넷 프레임을 포워딩 하는 역할이다. MAC Address Table을 통해 앞의 역할을 수행한다. MAC Address Table은 L2 스위치에 참여한 MAC과 Switch의 포트를 매핑하는 역할을 한다. L2 distribution 스위치 L2 스위치가 여러대 있을 때 이 L2 스위치를 관리하는 스위치가 L2 distribution 스위치이다. 층마..

Network/L2 2023.04.02

상황을 통해 알아보는 네트워크 용어

상황 한 차가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고속도로를 통해 간다고 했을 때 목적지까지 가는데 여러 교차로가 있다. packet 자동차에 해당한다. IP 목적지에 해당한다. Internet 고속도로에 해당한다. switch or router 위 예시에서 교차로에 해당한다. 교차로에서 특정 길을 선택하는 것을 스위칭이라고 한다 또는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라고 한다. 스위칭에는 여러 스위칭이 있다. L2, L3, L4, L7스위칭 ... 교차로에서 선택의 기준이 MAC 주소이면 L2 스위칭. IP가 기준이면 L3 스위칭 PORT가 기준이면 L4 HTTP가 기준이면 L7 스위칭 matric 스위치에서 선택에 대한 비용을 의미한다. 목적지까지 비용이 적게 드는 길을 선택한다.

Network 2023.04.02

Network 개념 정리

IP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장비에 부여되는 주소이다. 통신사에의해 지정되기 때문에 바뀔 수 있다. 와이파이를 사용할 때마다 ip 주소 확인 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MAC MAC 주소는 통신기기의 하드웨어 자체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번호를 나타낸다. 제품의 시리얼 넘버이기 때문에 장비에 부여되는 고유번호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MAC 주소는 외부에서 내부의 사설 아이피로 통신 요청을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설 아이피는 외부에서 볼 수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어떤 사설 아이피가 최종 목적지인지 알 수가 없는데, 이 때 최종 목적지의 MAC주소를 알고 있다면 아이피 주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Subnet 네트워크를 여러개로 쪼갰을 때 쪼갠..

Network 2023.03.07

Forward Proxy and Reverse Proxy

Forward Proxy 위치 클라이언트와 인터넷 사이에 위치한다. 장점 - 클라이언트 요청을 암호화 한다. 클라이언트의 ip를 숨겨준다. - 특정 사이트의 접근을 제한 할 수 있다. - 캐싱 기능을 제공해 접근하려는 사이트의 부하를 줄여준다. Reverse Proxy 위치 웹서버 앞에 위치한다. 장점 - 로드 밸런서 기능을 수행한다. 여러 웹서버 앞에 리버스 프록시 서버를 둠으로써 웹서버로의 요청을 분산시킨다. - 리버스 프록시 서버로 요청을 하기 때문에 웹서버의 ip를 감출 수 있어 보안에 좋다. - 캐싱 기능이 있어 웹서버의 부하를 줄여준다. - 암호화 기능을 제공한다.

Network 2023.03.07

CI · CD 4회

미션 정적 파일 배포하기 볼륨으로 정적 파일 공유하기 정적 파일 수정해서 내용이 바로 반영되는지 확인하기 reverse proxy를 이용하여 서비스 구성해보기 Nginx로 프론트엔드, 백엔드 환경 만들기(w. docker) 부분 실습 정적 파일 배포하기 볼륨을 구성한다는 의미는 container와 컨테이너가 설치된 서버가 폴더를 공유한다는 의미이다. docker-compose.yaml 파일에 볼륨 공유와 관련한 부분을 작성함으로써 컨테이너가 생성되었을 때 컨테이너를 생성시킨 서버에서 설정한 폴더와 컨테이너에서 설정한 폴더가 생성된다. 그리고 둘 중 하나만 변경하더라도 변경 사항이 양 쪽에 동시에 적용이 된다. 설정 파일과 같이 자주 고쳐야 하는 파일이 있다면 특징 별로 볼륨을 두어 관리한다면 컨테이너에 ..

DevOps 2023.03.06

CI · CD 3회

Docker? 이미지(파일)를 기반으로 컨테이너(프로그램)을 만드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미지와 컨테이너라는 개념이 등장하는데 이미지는 실행파일로 컨테이너는 메모리에 올라간 프로그램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용이하다. Dockerfile 만들기 1. 컨테이너를 구동시킬 베이스 이미지를 FROM에 적어준다. 2. 컨테이너 구동될 때 코드가 저장 될 위치를 지정한다. 3. 지정한 폴더에 복사 할 파일을 복사한다. 4. 필요한 의존성 패키지를 설치한다. 5. 특정 포트만을 허용한다면 특정 포트를 노출시키고 6. 컨테이너 실행시 기본으로 실행시킬 명령어를 적어준다. 여기선 CMD 또는 ENTRYPOINT로 처리할 수 있다. CMD의 경우 오버라이드가 가능하고 ENTRYPOINT는 무조건 실행된다. # Use offici..

DevOps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