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3 3

3. 컨테이너 기술과 기초 지식

3.1 컨테이너 기술의 역사: 의외로 오래된 컨테이너 기술의 기원  요약최초의 컨테이너 기술인 유닉스의 chroot 명령어는 애플리케이션이 지정한 디렉터리에만 접근하도록 한정할 수 있었다.컨테이너형 가상화 소프트웨어인 도커의 등장으로 간단하게 서버 가상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인 쿠버네티스가 등장하면서 컨테이너 관리가 쉬워졌다.  3.2 컨테이너 기술의 장점: 가상 서버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요약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하면 가상 서버를 쉽게 구축할 수 있다.컨테이너 기술은 가능한 한 데이터를 컨테이너에 포함하지 않는다. 3.3  데브옵스와 컨테이너 기술: 개발과 운영이 원활하게 연계 되도록 도와준다요약데브옵스는 개발자와 운영자가 협력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컨테이너 ..

2. 가상화의 원리와 기술

2.1 서버 가상화란 요약서버 가상화란 물리 서버 한 대에 가상 서버 여러 대를 구축하는 기술이다.서버 가상화 종류에는 호스트 OS형 가상화, 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 컨테이너형 가상화가 있다. 2.2 호스트 OS형 가상화란 요약호스트 OS형 가상화란 호스트 OS 위에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가상 서버(가상머신/게스트OS/APP)을 구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어떤 게스트 OS를 실행할 수 있는지는 호스트 OS에 설치된 호스트 OS 가상화 소프트웨어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2.3 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 호스트 OS가 필요 없다 요약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는 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 소프트웨어에서 가상 서버를 실행하는 기술이며, 물리 서버에 OS가 필요 없다.호스트 OS가 없고 게스트 OS에서 직접 제어하기 때문에..

1. 가상화 기초 지식

1.1 가상화: 물리적 구성에 얽매이지 않는 유연성과 가용성 요약실체가 없는 것을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가상화를 통해 하나의 물리 서버에 여러 대의 가상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가상 서버는 백업이 가능하므로 장애가 발생하기 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1.2 가상화의 종류: 서버 가상화와 네트워크 가상화 요약가상화에는 크게 ‘서버 가상화’와 ‘네트워크 가상화’ 두 유형이 있다.서버 가상화는 물리 서버에 가상 서버를 구축하는 기술이다.네트워크 가상화는 물리적 네트워크 기기를 보이지 않게 은폐해 가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1.3 가상화의 장단점: 효율 운용성 관점에서 물리 환경과 비교 요약서버 가상화는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환경을 쉽게 복구할 수 있다.네트워크 가상화는 네트워크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