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ar tar.gz 차이점
tar
한개 이상의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묶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나로 묶는 과정이 끝나면 '.tar' 라는 확장자가 붙는다. 아카이브, 백업, 전송에 그 목적이 있다. tar의 경우 묶었을 때 개별 파일 크기 합과 '.tar'과 일치하다. '.tar' 다 파일을 만들고 싶을 경우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만들 수 있다. 'file*' 형태의 파일의 경우
.tar 파일을 만들고 싶을 때
tar -cvf file1 file2 file3 dir1 dir2 dir3
.tar 아카이브 파일을 풀고 싶을 때
tar -xvf archive.tar
tar.gz
tar 포맷을 gzip 압축과 합친 형태이다. ".tar"와 다르게 압축해서 파일화 한다. ".tar.gz" 파일을 만들고 싶을 경우 아래 명령어를 작성하면 된다.
.tar.gz 압축파일을 만들고 싶을 때
tar -cvzf archive.tar.gz file1 file2 file2 dir1 dir2 dir3
.tar.gz 압축파일을 풀고 싶을 때
tar -xvzf archive.tar.gz
✅ 조건문 Script 만들기
value=0
if [ $value -eq 0 ]; then
echo "value equals 0"
fi
변수 value가 0과 같을 때 "value equals 0" 문구를 출력해라
if [ $# -ne 1 ]; then
echo "You should give at least one argument"
exit -1
fi
해당 ".sh"파일 실행 시 인자를 적어도 하나이상 넘겨주지 않을 경우 "You shold give at least one argument" 문구를 출력하도록 해라
Forwarding
로컬 머신에서 타겟 머신으로까지의 경로가 있을 때 그 사이에 여러 길이 있을 것이다. 이 때 패킷은 라투터의 안내를 받아 최적의 길로 들어서게 되는데, 이러한 라우터의 안내를 받아 특정 길로 들어서는 해당 부분을 포워딩이라고 부른다. 포워딩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패킷은 목표 머신에 도달하게 된다.
Port Forwarding
포워딩의 한 종류이다. 트래픽이 목표로 하는 서버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목표 서버가 방화벽이나 NAT device 너머에 있다고 하더라도 패킷 내에 들어 있는 타겟 정보를 확인하여 트래픽이 목표 서버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설 네트워크 망에 있는 호스트들이 하나의 공유 아이피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 NAT는 사설망에 있는 로컬 머신에 사설 아이피를 할당하고 이 아이피를 공유 아이피와 매칭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설 네트워크 망의 여러 호스트들이 공용 아이피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 · CD 4회 (0) | 2023.03.06 |
---|---|
CI · CD 3회 (0) | 2023.03.02 |
CI CD 1회 (0) | 2023.02.24 |